API 규격 안내
데이터 표현규격
- 한국증권금융의 API는 JSON 포맷으로 호출됩니다.
-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 인코딩으로 UTF-8을, 통화코드 표현으로 ISO-4217 표준규격을 사용합니다.
데이터 통신규격
네트워크
자본시장 공동망(K-NET) 및 이용기관과 증권금융간 별도 전용선 네트워크를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IP 및 PORT의 경우, 이용기관의 KSFC API 포털 참가 신청서 제출 후 포털 관리자가 이메일로 회신
메시지 교환방식
API 요청 및 응답 메시지 교환방식으로 REST 방식을 사용합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HTTP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프레임워크로써, URI로 정보의 자원을 표현하고 자원에 대한 행위를 HTTP 메소드(GET, POST)로 표현
URI 계층 구조
당사에서 제공하는 자원(리소스)을 고유하게 식별하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URI 계층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분류 | URI 계층 구조 |
---|---|
접근토큰 발급 API (OAuth인증) |
<base path > / oauth / 2.0 / token |
일반 api (투자자예탁금 등) |
<base path > / <version > / <resource > |
- <base path > 전용 회선 네트워크 IP주소
- <version > API 버전 정보 (ex. v1 등)
- <resource >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특정 자원을 요청하기 위한 식별 정보
HTTP 헤더
헤더 값을 통해 데이터(Body)의 포맷을 지정합니다.
HTTP 유형 | 구분 | 헤더 값 지정 |
---|---|---|
요청 (Request) |
OAuth 2.0 접근토큰 발급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
JSON 형식으로 데이터 전송 | application/json | |
응답 (Response) |
OAuth 2.0 접근토큰 발급 | application/json |
JSON 형식으로 데이터 전송 | application/json |
HTTP 응답
분류 | 응답 코드 및 메시지 |
---|---|
접근토큰 발급 API (OAuth인증) |
RFC 6479 및 7009 국제표준 준용 |
일반 API (투자자예탁금 등) |
응답 메시지 내 ‘rsp_code’, ‘rsp_msg’ 필드로 반환 |
API별 오류코드와 오류 메시지는 개발가이드를 참고하세요.
페이지네이션
‘다음 페이지 존재여부’(next_page_yn)가 Y인 경우, 다음 페이지의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결과로 받은 ‘직전조회추적정보’ (before_inquiry_trace_info)를 설정합니다.
HTTP 유형 | 구분 | 헤더 값 지정 | 설명 |
---|---|---|---|
요청 | before_inquiry_trace_info | AN(20) | 직전조회추적정보 |
응답 | before_inquiry_trace_info | AN(20) | 직전조회추적정보 |
next_page_yn | A(1) | 다음 페이지 존재여부 |
다음 페이지 조회 시 직전 조회 응답 메시지 내 ‘직전조회추적정보’ (before_inquiry_trace_info)필드를 그대로 세팅하여 요청합니다.
예시
요청 | 응답 | |
---|---|---|
최초 조회 | 파라미터 설정하지 않음 |
{
|
다음 페이지 조회 | before_inquiry_trace_info = 1 |
{
|
다음 페이지 조회 | before_inquiry_trace_info = 2 |
{
|
담당자 연락처
- 02-3770-8953 (IT지원팀)
- ksfc44@ksfc.co.kr